Antonio’s Story
안토니오의 이야기
My name is Antonio,
제 이름은 안토니오 입니다.
I was born in Mexico and I lived there until I was 11. In the year 2000, I came with my younger sister, and my mother, to reunify with my dad who had been in the United States working throughout the 90s. Our parents wanted to give my sister and me an opportunity to have a higher education, which neither one of my parents have. So I came to the United States with a lot of those dreams of accessing higher education, of going to school to become an architect, something I always wanted to be since I was a kid.
저는 멕시코에서 태어났고, 11살까지 멕시코에서 살았었습니다. 아버지는 90년대부터 미국에서 일하고 계셨고, 어머니, 저와 여동생은 2000년에 미국으로 넘어오게 됐습니다. 부모님께서는 당신들이 누리시지 못했던 미국에서 교육받을 기회를 저와 제 동생에게 주고 싶으셨고, 그렇기에 저는 미국으로 올 때 정말 큰 꿈을 가지고 왔습니다. 좋은 교육을 받고, 대학에 진학해서 건축가가 되는 것은 어렸을 때 부터 동경했던 꿈이었던 것 같습니다.
It took three days for the trip to Chicago, three days that I still remember so vividly. I remember the first day after our arrival, my dad asked us to sit down in our living room. This was the first time we had a living room, where we had a home where water wasn't getting into. I come from a modest background, we had a house that was not really what one would think is built to code or that had an actual roof to protect us from the environment. When he sat us down in the living room, he talked about, for the first time, what it meant to be an immigrant in the United States. I remember him using the word or saying the term that we were “illegal” in this country and that we needed to protect that information from being known to anybody, at any cost. If ultimately, somebody did find out about our status here, that would most likely mean deportation, the separation of our family, or potentially criminal charges. I remember coming out of that conversation, being confused, feeling the taboo associated with the identity of being an immigrant. After that conversation, it was never really discussed anymore as a family.
시카고에 도착하기까지 3일 정도가 걸렸습니다. 정말 잊을 수 없는 3일이었죠. 시카고에 도착한 첫날이 기억이 납니다. 아버지가 저희를 거실에 앉혀두고 이야기하셨는데, 거실이란 공간이 집에 있는 것 자체가 처음이었죠. 멕시코에서 우리 집은 그렇게 잘 사는 편이 아니었거든요. 실내에 물이 차오르는 건 다반사였고, 지붕이 온전히 붙어 있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그런 집에서 살았습니다. 아버지가 저희를 앉혀놓고 해주신 말씀은, 미국에서 이민자로서의 삶에 관한 것이었어요. 아버지에게서 처음으로 듣는 얘기들이었죠. 아직도 생생히 기억나는게, 아버지가 저희는 “불법체류자”라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이민 신분이 그렇다는 걸 그 누구에게도 말해선 안 된다고 덧붙이셨죠. 누군가 알게 된다면 강제 추방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하게는 형사 처벌도 받을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가족이 나눠진 채로 떨어져서 살아야 하는 것은 당연했구요. 이런 얘기를 들으면서 제 머릿속은 혼란이 가득했습니다. 이민자라는 것이 금기시되는 신분인가 라고 생각도 했더랬죠. 이 대화 후 우리 가족이 체류 신분이나 이민자의 삶에 대해서 다시 얘기한 적은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I saw my parents who were back then both undocumented, struggle with work. Getting very temp jobs, that will pay minimum wage or sometimes underpay them. Because of their status, they would be taken advantage of and exploited for their labor. I saw my family having hesitation about going to certain places or build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we didn't know, and having this fear that potentially any individual could turn us into ICE.
부모님께서 서류미비자로서 얼마나 힘든 삶을 이어나가시는지 바로 옆에서 지켜봤습니다. 제대로된 수당을 받지 못하고, 단기계약직을 전전하며 서류미비자라는 신분 때문에 노동을 착취 당하고 보상을 받으시지 못하는 것은 일상다반사였습니다. 가족들은 인간관계를 맺거나 어디를 편하게 가는 것에 대해서도 이민세관단속국 (ICE)에서 나오진 않을까 항상 염려해야 했습니다.
As a result, my focus became doing well in school and hoping for some type of relief such as an amnesty while I worked on my degree.. I was hoping to obtain relief for myself and my family and I believed that becoming an architect would support that process and the best way to show my appreciation to my parents’ sacrifices to give my sister and I that opportunity. To my knowledge I was the first undocumented person to get accepted to the college that I attended, the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They provided me with a full ride, which was unexpected. I am very grateful as that opportunity allowed me to attend college as my parents didn't have the economic means to actually do that. Throughout my time at IIT, I actually found myself still feeling that oppression about being undocumented. I was told by some of the administrators that made my scholarship possible to not organize or talk about my status in an open, public way out of fear that it could affect the funding of my scholarship. I remember those five years that I did in college to get my architecture degree, feeling very focused in school, but at the same time I was still oppressing a part of my identity, of myself. I had just grow comfortable in my identity as a queer person my senior year of high school, but it felt that I was still not true to who I was.
이런 모든게 조금씩 쌓였고, 저는 그냥 학업에만 충실해서 언젠가는 가족들을 부양할수 있게 되길 바랬습니다. 성공적인 건축가가 되어서 저를 포함한 가족들이 같이 이민 신분을 구제받고, 이런 기회를 주시기 위해 고생하셨던 부모님께 조금이나마 보답을 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알기로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에 서류미비자 신분으로 합격한 사람은 제가 처음 이었다고 합니다. 예상치 못한 전액 장학금도 받았고 금전적 상황이 어려웠던 저에겐 너무나 감사한 기회였습니다. 하지만 대학을 다니는 동안 서류미비자 신분으로 인해 여러 방면으로 제약이 있다는것을 다시 한번 느꼈습니다. 학교에서 제 신분을 공개하거나 서류미비 관련 조직 활동에 참가하는걸 주의하라는 무언의 압박을 느꼈고, 그래서인지 대학을 다니는 5년 동안, 제 정체성의 일부분을 억누르고 살았죠. 고등학교 마지막 해에 제가 퀴어 성향이라는걸 인지하고 성장해 나가면서 안정감을 찾았지만, 그것이 제 정체성의 전부는 아니라는걸 알고 있었습니다.
In the state of Illinois, back when I was in college, if you didn't have a social security number, you couldn’t get a driver's license. I knew the risk - I had been driving since pretty much my junior year of high school in order to move around- I didn't have any other option.
일리노이 주에서 대학을 다닐 때, 소셜 시큐리티 넘버 (사회 보장 번호) 없이는 운전면허를 취득 할수 없었습니다. 위험한 줄 알았지만 11학년 때 부터 먼 거리를 이동을 해야 했기 때문에 면허증 없이 운전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One night in 2011, I went to hang out with some friends and found myself making a decision that has affected me every day after that night. After drinking and hanging out with my friends, I went back to my car via CTA, our public transportation here in Chicago. When I was driving back home, I got pulled over by a cop that ultimately arrested me at that time on charges of driving under the influence. I will never forget that night and the day after, an experience that also allowed me to see the process of criminalization. I went to court, originally The prosecutor tried to convict me with a felony because I was undocumented and didn’t have a driver's license while driving. Ultimately, the whole work with the court process ended up with a misdemeanor, a charge lower than a felony. But for ICE purposes, DUI misdemeanors are still considered aggravated and it doesn’t help that the initial charge was a felony. I went through the court process, the judge was very lenient with me as it was my first interaction with law enforcement and I had friends and professors write letters of support. At the end I was convicted of a misdemeanor and one-year probation. I attended my probation check-ins, completed my community service hours, in other words, I paid my dues for the mistake that I made but it was not enough.
2011년도 친구들과 놀러 나온 어느 날 밤, 제 삶에 지금까지도 영향을 끼치고 되는 선택을 하게됩니다. 친구들과 술을 마신후에 버스를 타고 제 자동차로 향했고, 집으로 운전을 해서 가는 길에 경찰한테 걸리고 음주운전으로 체포 당했습니다. 그 뒤 며칠간을 잊을 수 가 없습니다. 법원에선 제가 음주운전을 하였고 서류미비자 였기 때문에 검찰이 중범죄로 기소하려 했습니다. 더 무서운 현실은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음주운전과 같은 범죄도 가중 처벌을 한다는 것 이었습니다. 하지만 판사님은 이번이 제 첫 기소 였기 때문에 감치해 주셔서 경범죄와 1년의 보호 관찰을 받게 되었습니다. 친구들과 선생님이 보내 주신 편지들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 후로 보호 관찰관과 한번도 빠지지 않고 만나며, 사회 봉사도 하고, 제가 저지른 죄값을 꾸준히 치루었습니다.
In 2012, while DACA was being announced by the Obama administration, I graduated. I received my diploma, which ultimately was just a piece of paper because without a work permit or a social security number, nobody could hire me. I fell into a huge depression after that. At that point, I was already working at a firm as an intern and then part-time employee, where I was going to get hired as a full-time employee after graduating. But once we were going to formalize the process, my status became known and I ended up losing that opportunity, then applied to many other places to only find closed doors. I was very depressed and had to move back to living with my parents.
2012년, 오바마 행정부가 DACA를 처음으로 발표했을때 저는 대학을 졸업 했습니다. 졸업장을 얻었지만 그냥 의미 없는 종이장 같았습니다, 왜냐하면 소셜 시큐리티 넘버 (사회 보장 넘버)와 취업 허가증 없이 취직한다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졸업 했을때는 인턴으로서 어느 회사에서 이미 일을 하고 있었지만 졸업한 후 회사에선 제가 서류미비자인 것을 알게 되었고 곧이어, 그 직장을 잃게 되었습니다. 직장을 떠난 뒤 많은 곳에 취업 신청을 해 보았지만 모든 문은 닫혀있었고 또다시 취업의 기회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매우 우울한 상태로 부모님 집으로 돌아와 살게 되었습니다.
In the early months of 2013, I heard of the Immigrant Youth Justice League, an organization in Chicago that was empowering undocumented youth. I decided to reach out to them and see how I can contribute. I was tired of waiting for an amnesty or a path to legal status within the United States, I was ready to be activated. I was never exposed to organizing before, it was a lot of learning, but with no school and no job, I had a lot of time to invest in community organizing. For the first time, I was surrounded by other undocumented immigrants that I could share that identity with, learning about how our story is a political tool to push for the things that I wanted, which was to get some kind of legal status.
2013년도 초에 저는 시카고에 있는 Youth Justice Program 이라는 단체에 대에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에게 연락하고 제가 어떻게 도움이 될수 있는지 물어 보았습니다. 미국 정부가 서류미비자들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에 지쳐 있었고, 그렇기에 활동할 준비가 되어 있었습니다. 저는 조직 활동가로 일하는 것이 서툴러 한번도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학교도 졸업했고 취직도 못하고 있으니 남는 모든 시간을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하며 정성을 쏟아붓자고 생각했습니다. 사회 봉사를 통하여 처음으로 다른 서류미비자들을 만났습니다. 처음으로 저와 같은 정체성을 가진 분들과 어려움을 공유하고 그리고 서로의 이야기를 어떻게 정치적 도구로 써서 미국내 신분 획득을 할 수 있는지 알아갔습니다.
Eventually, I applied for DACA, even though I knew that because of the DUI that it was going to be unlikely that I was going to get accepted. But I wanted to push the system itself, to where if I, who graduated with honors from a university and paid my dues for the DUI and hadn't had any interactions with law enforcement after that, could push the administration to potentially give discretion to others with similar situations. At this point in my life, I had the mentality of a “dreamer” who deserved this because I went to school. The rhetoric that now I avoid as I believe all humans are all deserving.
저는 음주운전 경력 때문에 DACA 등록 하는게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 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음주운전 경력을 모두 해소했고 그 이후로는 경찰과 다시 엮인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대학을
우수한 성적로 졸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민 시스템과 관련하여 나같은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받을수 있나 알아보고 싶었습니다. 제 인생의 이 시점에서 좋은 성적으로 졸업을 한 나이기에 Dreamer로서의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훗날 생각하게 된 것이지만, 이러한 생각은 조금 모자랐던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에게는 평등한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In the last eight years, my community work has given me a sense of belonging and empowerment to believe that transformation is possible.. I built my organizing as a volunteer, eventually becoming a paid housing organizer. I got to interact with Individuals facing foreclosure because of the housing crisis in 2007. That was my other development around my politics: understanding and seeing the effects of evictions, of forced displacement, and learning about the root causes of the oppressions in my community. I became critical of capitalism and its role in creating the oppressions we experience.
8년 동안 지역 봉사 활동을 하면서 소속감을 얻고 변화가 가능하다는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봉사자로 활동 하면서 체계적으로 배우고 능력을 키워 나갔고 뒤엔 정식 직원으로 주택사업
조직활동의 일원이 되었습니다. 2007년도 주택대란 당시 압류에 맞서고 있던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이때에 저의 정체성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쫓겨나고, 집이 없이 살게되는 이런 문제들의 근본 원인을 찾아가며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자본주의라는 시스템이 개인에게 엄청난 부담을 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면서 사회 시스템에 대하여 비판도 하게 되었습니다.
I think the most notable limit that I feel as an undocumented immigrant is that at any point, ICE could come to my home, knock on my door, and put me in detention or in the deportation proceedings. I know I have the amazing support of the communities that I'm a part of and the organizations that I'm part of, so I feel less alone or not as afraid and isolated as I'm sure many other undocumented immigrants feel. But constantly, whenever, I'm outside biking around right or going to a bar or interacting with individuals or strangers, I always feel the anxiety that my actions could be a reason for ICE to target me for deportation. It’s hard to live when something like that could happen at any point, regardless of how long you've been in the United States. I've been able to work and find sources of income regardless of my status, finding loopholes within the system that we live in. But of course, having the ability to find a job at any field or any place that I feel qualified for… I would feel very empowered and validated about my skills without there having to be a bottom line around whether I have a work permit or not.
서류미비자로서 제일 크게 느끼는 한계는 ICE가 언제 저도 모르는 사이에 추방시킬 수 있다는 끔찍한 걱정에 시달리는 것입니다. 많은 서류 미비자들이 저와 함께 공감하는 부분은 동료와 이웃들의 격려와 후원을 통해 위로를 받아서 외로움과 두려움을 해소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밤에 자전거를 타러 나갈 때, 친구들과 외부에서 술한잔 할 때, 아니면 모르는 사람들과 소통할 때 -
그럴때마다 불안감에 휩싸입니다. 미국 얼마나 오래 살았던 이런 두려움과 걱정에 항상 불안감에
휩싸이게 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입니다. 직장을 구할때도 한계를 느낍니다. 어떻게 해서든지 돈을 벌어서 살아가지만, 취업 허가증을 걱정 하지 않고 일을 할수만 있다면 저의 능력에 더 많은 자신감을 가지고 발전해 나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Having citizenship would give me a lot more social mobility within my community, within my field of work. It would allow me to be able to see the many places/buildings that I have read about and seeing in documentaries.. I would be able to go back to Mexico to see family members and get to see my birth country. I would connect with the groups that I have met in my years of organizing from those resisting in Palestine, South Africa, Argentina, Brazil, and Mexico. They have not only inspired the community organizing work that I do, but they have inspired me to believe that there is hope in the world. It is not just me and the organizations that I'm part of that are doing this type of work, but that is work that is being done globally by multipl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ransforming our society is possible when you start seeing the amount of networks and resources that are being built in an autonomous way outside capitalism.
시민권이 있다면 제가 사는 사회와 일하는 분야에서 앞으로 나아 갈 수 있게 됩니다. 여행을 다니면서 책에서 읽고 다큐멘터리에서 보아왔던 장소들과 빌딩들을 구경도 할수있게됩니다. 그리고 또 저의 고향, 멕시코도 방문해 오랜 시간 만나지 못했던 가족들을 만나 볼수도 있습니다. 멕시코 뿐만이 아니라, 제가 조직활동가로 일하는 동안 만난 팔레스타인, 남아프리카, 아르헨티나, 브라질에서 사는 지인과 친구들을 만나 볼수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은 저에게 항상 영감을 주는 사람들이고 제가 세상에는 아직도 희망이 있다고 믿게 도와주는 사람들입니다. 사회를 변화시키는 일을 하다보면 한 사람과 한 단체 만이 아닌 몇 백 몇 천개의 구성원들이 함께 더 좋은 미래를 열심히 만들고 있다는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시민권이 있고 없고를 떠나서 미국은 21년동안 저의 집이었고, 이 사실은 아무도 부정 할 수 없습니다.
Regardless of having citizenship or not, the United States is my home for the last 21 years. Nobody will ever take that away from me. I hope I will heal from the trauma of having family members and community members taken by ICE. I want to heal from that trauma and I know feeling a sense of belonging in my community supports that process. I’ve seen the power that organized communities have and how powerful we can be.
저는 ICE가 저의 가족과 이웃들을 추방한 트라우마로부터 회복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를 회복할수 있게 도와주는 커뮤니티가 있어서 소속감을 느끼고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사회적인 도움이 얼마나 큰 힘이 될수 있는지 항상 깨닫고 합니다.
I believe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will be similar to the Obama administration, which to this day, is still the administration that deported the most undocumented immigrants. If I can be idealistic, I hope that the Biden administration works with community organizers that come from an undocumented background or community, in order to really know what is needed at the local level. My first demand for them would be to abolish ICE. We don't need a terrorist agency like ICE in immigrant communities. What we need is a radical transformation of the system and process to be more humane. I want a process that will actually allow us to thrive in our communities, instead of feeling exploited or feeling “less than” residents or citizens. We, undocumented immigrants, should be able to receive the ability to travel to our countries of origin and see family members that we have not seen in decades. Perhaps I could unify my passion for architecture with a community organizing lens. To be able to have that opportunity to decide when and what I want to do, where I do, and how I do it, without ever having my undocumented identity be a factor in what decisions I make, is what I want. I want to feel free.
오바마 행정부는 지금까지의 행정부 중에 제일 많은 서류미비자 들을 추방 시킨 행정부 입니다.
바이든 행정부도 오바마 행정부와 비슷할까봐 우려됩니다. 이성적으로 생각 하자면, 저는 바이든
행정부가 서류미비자 그리고 이민자들과 관계가 있는 지역사회 단체와 함께 일을 하면 정책을 받아들이는 시민의 입장으로서 무엇을 필요로 하며 어떻게 협력해 나가야 하는지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라 믿습니다. 저의 첫번째 요구는 ICE를 없애는 것입니다. 테러리스트 조직과도 같은 ICE는 이민자들이 사는 사회에 더 이상 필요가 없습니다. 더 이상 참혹하지 않은 사회를 만들어 나가려면 철저한 개혁이 필요 합니다. 서류미비자들을 거주자들과 시민들과 비교하고 하대하는 사회를 앞으로는 약자들에게 힘을 실어 줄수 있는 사회로 바꾸고 싶습니다. 서류미비자들도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 몇십년 동안 만나지 못한 가족들을 다시 만날수 있는 권리도 있어야 합니다. 또한 무엇이든 선택을 하게 될 때에 서류미비자 라는 딱지가 선택에 압박을 주는 것을 없애고 싶습니다. 제가 열정적인 건축학과 지역사회조직의 일들을 편한 마음 으로 합치고 싶습니다. 어떤 기회가 주어지든 제가 무엇을 하고 싶어하든 언제든지 서류미비자로서 겪는 제약과 약점을 이겨내고 싶습니다. 저는 오직 자유롭고 싶습니다.
Help fight for people like Antonio! Join our campaign! In addition to sharing stories, we are calling Congress EVERY DAY and hosting a daily vigil in front of Congress for the first 100 days of Biden’s presidency to demand citizenship for all undocumented immigrants!